배우자가 부정행위를 했을 경우 이혼 절차에서 유리한 점은 주로 위자료와 재산 분할에 관련됩니다. 이혼 사유가 배우자의 부정행위에 의한 것이라면, 그 배우자는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되며, 이는 위자료를 청구하는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위자료는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인해 발생한 정신적 고통에 대한 보상으로, 이를 청구할 때 유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정행위가 재산 분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재산 분할은 기여도를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지지만, 부정행위가 발생했을 경우 배우자의 부당한 행위가 재산 분할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부정행위는 결혼 생활에 대한 신뢰를 저버린 행위로 간주되어, 배우자가 재산 분할에서 더 적은 비율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와 같은 유리한 점들은 부정행위가 명백하게 입증된 경우에 해당하며, 이혼 소송에서 부정행위의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법원은 부정행위가 이혼 사유로 인정될 경우, 피해 배우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공정한 결과를 도출하려 할 것입니다. 부정행위로 인한 이혼이 복잡한 문제를 동반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법률 상담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